About   Press   Index     ︎
그래픽 디자이너. 작고 어여쁜 세 고양이의 아빠. 서울대학교에서 시각 디자인을 공부했다. 2006년 그래픽 디자인 스튜디오 fnt를 설립한 이후,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아트 디렉터로서 프로젝트의 시각적인 부분에서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국립극단, 서울레코드페어 등의 클라이언트와 함께 여러 문화 행사와 공연을 위한 작업을 해왔으며 다양한 범위의 브랜딩 프로젝트를 경험했다.

총감독을 맡아 타이포잔치 2021: 국제 타이포그래피 비엔날레 《거북이와 두루미》(서울, 2021)를 기획했고 《코리아: 디자인 + 포스터》(뮌헨, 2017), 《그래픽 디자인, 2005—2015, 서울》(서울, 2016), 《코리아 나우! 한국의 공예, 디자인, 패션, 그래픽 디자인》(파리, 2015), 타이포잔치 2015: 국제 타이포그래피 비엔날레 《C(   )T(   )》(서울, 2015), 벨트포매트 그래픽 디자인 페스티벌(루체른, 2015), 《交, 향》(서울, 2015) 등의 전시에 참여했다.
그의 작품은 쇼몽 그래픽 디자인 비엔날레: 국제 포스터 공모전, 홍콩 국제 포스터 트리엔날레, 그래픽 디자인 페스티벌 스코틀랜드: 국제 포스터 전시 등에 선정되어 전시된 바 있다.

서울시립대학교에 출강 중이며, 2016년부터 AGI(Alliance Graphique Internationale)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이메일: jaemin(dot)fnt(at)gmail(dot)com
주소: 03081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 187 토토빌딩 2층


학력

  • 서울대학교 산업디자인과 시각디자인 전공 학사 졸업


전시 기획



심사



수상



출판



주요 참여 전시

  • 마카오디자인위크 2022(마카오현대미술센터 해양 공장 1호, 2022)
  • 《Ongoing》 Motion Design Exhibition(중국미술학원 디자인 예술 대학 18동 201 전시홀, 항저우, 2022)
  • 개인전 《Whimusical》(Pátio da Claridade No. 10 R/C, 마카오, 2022)
  • 쇼몽 그래픽 디자인 비엔날레 2021: 29회 국제 포스터 공모전(국립 그래픽 센터 Le Signe, 쇼몽, 2021)
  • 2020 4회 선전 국제 포스터 축제(선전, 2021)
  • 헝그리 디자인》(싱가포르 국립 디자인 센터, 싱가포르, 2021)
  • 《낫 온리 벗 올소 67890》(17717, 서울, 2021)
  •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전시 14 《만질 수 없는》(문화역서울 284, 서울, 2020)
  • 《서점을 위한 포스터》(서울도서관, 서울, 2020)
  • 《잉크 빌리지》(바나나피쉬 갤러리, 상하이, 2019)
  • 서울세계불꽃축제》(여의도 한강공원, 서울, 2019)
  • 잉크 빌리지》(마이 몽키 갤러리, 낭시, 2019)
  • 《온리 스티커》(유어마인드, 서울, 2019)
  • 《잉크 빌리지》(아카이브 봄, 서울, 2019)
  • 그래픽 디자인 페스티벌 스코틀랜드 2018:국제 포스터 전시(더 라이트하우스, 글래스고, 2018)
  • 상하이 비주얼 아트 디자인 전시 2017(류하이수 미술관, 상하이, 2017)
  • 《포스터 폴리글롯》(TTHQ, 로테르담, 2017)
  • 코리아: 디자인 + 포스터》(피나코텍 데어 모데르네, 뮌헨, 2017)
  • 《포스터 이슈 2016》(와우산로 13길 49-15, 서울, 2016)
  • 《불완전한 리스트 - 베이징》(뤼징런 페이퍼로그, 베이징, 2016)
  • 《모바일 토크 전시: 홍콩》(커먼 룸 회사, 홍콩, 2016)
  • AGI OPEN SEOUL》 연계 전시 《I Love Seoul 포스터 전시》(DDP, 서울, 2016)
  • 서울 스마트 모빌리티 국제 컨퍼런스/전시 2016(DDP, 서울, 2016)
  • 그래픽 디자인, 2005—2015, 서울》(일민미술관, 서울, 2016)
  • 《메이드 인 코리아》(BEXCO, 부산, 2016)
  • 《메이드 인 코리아》(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2016)
  • 《메이드 인 코리아》(DDP, 서울, 2016)
  • 타이포잔치 2015: 국제 타이포그래피 비엔날레 《C(   )T(   )》(문화역서울 284 외 지정된 장소, 서울, 2015)
  • 뷀트포메트 15》(노이슈타트슈트라제 6, 루체른, 2015)
  • 평화의 깃발》(피어, 헤이그, 2015)
  • 코리아 나우! 한국의 공예, 디자인, 패션, 그래픽디자인》(장식미술관, 파리, 2015)
  • 交, 향》(MMCA 서울, 서울, 2015)
  • 《유나이티드 노션》(아트 스페이스 타이가, 상트페테르부르크, 2015)
  • 《유나이티드 노션》(움슈판베르크 크로이츠베르크, 베를린, 2015)
  • 《유나이티드 노션》(갤러리 나우카 이 이스쿠스뜨바, 모스크바, 2015)
  • 스톡홀름 퍼니처 페어 《NakNak 2015》(스톡홀름 국제전시장, 스톡홀름, 2015)
  • 시스템 14》(월터 놀 베이징 쇼룸, 베이징, 2014)
  •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전시 9(국민대학교, 서울, 2014)
  •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전시 7(국민대학교, 서울, 2013)
  • 크리에이티브시티》(보얼예술특구, 가오슝, 2013)
  • 시스템》(월터 놀 런던 쇼룸, 2013)
  •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전시 6(갤러리 사각형, 서울, 2013)
  • 《독립출판, 지금 여기》(COEX, 서울, 2013)
  • 2회 상하이 아시아 그래픽 디자인 비엔날레(상하이 도서관, 상하이, 2013)
  • 타이포잔치 2011: 국제 타이포그래피 비엔날레 《동아시아의 불꽃》(예술의 전당, 서울, 2011)
  • 디자인 코리아 2010(COEX, 서울, 2010)
  •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전시 2 《이상한 책》(서교예술실험센터, 서울, 2010)
  • 그래픽 디자인 페스티벌 브레다 《커넥티드 프로젝트》(브레다, 2010)
  • 《컨정크션: 미디어로서의 작가 파트 2》(갤러리 정미소, 서울, 2009)
  • 《언서튼티 컴포지션》(그라우 갤러리, 서울, 2007)
  • 《워크 인 프로그레스》(갤러리 아침, 서울, 2006)


매체소개(단행본)



매체소개(잡지, 학술지)

  • 『월간 디자인』 2022년 12월, 「한국 디자인 연감 2022」(서울, 2022)
  • 『아이디어アイデア』 No.397, 「Typojanchi 2021: Report」(도쿄, 2022)
  • 『글짜씨』 21, 「성인(成人)이 된 타이포잔치의 발복(發福)을 빌며」(서울, 2022)
  • 『디자인360°』 No. 97, 「Typojanchi 2021」(광저우, 2022)
  • 『월간 디자인』 2022년 2월, 「Play the Poster」(서울, 2022)
  • 『모노클』 연례 특별호 『포케스트』 2022(런던, 2022)
  • 『월간 디자인』 2021년 10월, 「타이포잔치 2021: 국제 타이포그래피 비엔날레 《거북이와 두루미》」(서울, 2021)
  • 『글짜씨』 20, 「타이포그래피와 여러 가지 것들 사이에서」(서울, 2021)
  • BranD 매거진 #56 Bang! BranD Band — Design for Music』(광저우, 2021)
  • 어라운드 매거진 #76: Time at Home』(서울, 2021)
  • BranD 매거진 #53 Limited Color Combinations, Unlimited Expression』(광저우, 2021)
  • 『공예 + 디자인 #46』(서울, 2020)
  • 나우매거진 Vol. 5: 서울』(서울, 2020)
  • 『어라운드 매거진 #70: Artist’s Room』(서울, 2020)
  • 그래픽 매거진 #45: Logo Now』(서울, 2020)
  • 디자인360° #84: Special Issue』(광저우, 2019)
  • 『어라운드 매거진 #69: Vintage』(서울, 2019)
  • 『메종 마리끌레르 코리아 2019년 12월, 「Animal Family」(서울, 2019)
  • 『CA 매거진』 2019년 9월, 「Way of Seeing」(서울, 2019)
  • 『GQ 코리아』 2019년 7월, 「Surfer’s High」(서울, 2019)
  • 『월간 디자인』 2019년 5월, 「Readymade Bodhisattva」(서울, 2019)
  • 『재즈피플』 2019년 4월, 인터뷰(서울, 2019)
  • 『월간 디자인』 2019년 3월, 「잉크 빌리지」(서울, 2019)
  • 『럭셔리』 2019년 3월, 「SEOUL×CREATORS」(서울, 2019)
  • 『월간 디자인』 2019년 2월, 「대충유원지」(서울, 2019)
  • 『PAGE magazine』 2019 년 1월(함부르크, 2019)
  • 『GQ 코리아』 2018년 11월 「Music and Cleaning」(서울, 2018)
  • 『메종 코리아』 2018년 10월 「취향을 담은 잔」(서울, 2018)
  • 디자인360° 매거진 #77: Call for Korea Design Culture]』(광저우, 2018)
  • 모노클 #111: South Korea Special』(런던, 2018)
  • 『월간 디자인』 2018년 3월, 「Old is the New Hip」(서울, 2018)
  • 『오디너리 매거진 2018년 2월: Play』(서울, 2018)
  • 『아레나 옴므』 2018년 2월, 「Nightcap」(서울, 2018)
  • 『플레이보이 코리아』 2018년 2월,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디자인리뷰」(서울, 2018)
  • 『매거진C』 2018년 1월, 「아틀리에의 고양이」(서울, 2018)
  • 『오디너리 매거진 2017년 11월: City Life(서울, 2017)
  • 『GQ 코리아』 2017년 11월, 「GQ식 2017년 기념우표」(서울, 2017)
  • 『어라운드 매거진』 #50, 「50개의 질문, 50개의 대답」(서울, 2017)
  • 『럭셔리』 2017년 7월, 「섬머 플레이리스트」(서울, 2017)
  • 『커뮤니케이션 아트』 2017년 5/6월 「features」(멘로파크, 2017)
  • 『아이디어アイデア』 No.377, 「Mobile Talk: Report」(도쿄, 2017)
  • 그래픽 매거진 #40: On GRAPHIC」(서울, 2017)
  • 『럭셔리』 2017년 4월, 「포스터 디자인」(서울, 2017)
  • 『폼 매거진』 #270, 2017년 3/4월 「South Korea」(프랑크푸르트, 2017)
  • 『글짜씨』 14, 좌담 「아래로부터의 브랜딩」(서울, 2016)
  • 그래픽 매거진 #39: Poster Issue 2016』(서울, 2016)
  • 그래픽 매거진 #38: SKETCH-BOOK』(서울, 2016)
  • 『GQ 코리아』 2016년 11월, 「Music posters」(서울, 2016)
  • 『글짜씨』 13, 아카이브(서울, 2016)
  • 『아이디어アイデア』 No.373, 「Typojanchi 2015: Report」(도쿄, 2016)
  • 그래픽 매거진 #36: Flyer Practice』(서울, 2016)
  • 『글짜씨』 12, 「C(   )T(   )」(서울, 2016)
  • 『어라운드 매거진 #29』 2015년 11월, 「You Are What You Read」(서울, 2015)
  • 『BranD 매거진 #22 NO MORE RULES: Broaden the Spectrum of Design』(광저우, 2015)
  • 『dpi 매거진』 #199, 2015년 11월, 「The Best Album Packaging Design」(타이베이, 2015)
  • 『월간 디자인』 2015년 11월, 「The Hyundai 브랜드 아이덴티티」(서울, 2015)
  • 『Geek』 2015년 8월, 「Geek Journal」(서울, 2015)
  • 『글짜씨』 11, 좌담 「내부자의 잠재력을 일깨우는 타자의 시선—글로벌리티에 대항하는 인터로컬리티」(서울, 2016)
  • 『아레나 옴므』 2015년 5월, 인터뷰(서울, 2015)
  • 『글짜씨』 10, 좌담 「글짜씨 99」(서울, 2015)
  • 그래픽 매거진 #32: Identity Manual』(서울, 2015)
  • 『월간 디자인』 2014년 12월, 「한국 디자인 연감 2014」(서울, 2014)
  • 그래픽 매거진 #31: Music Graphic』(서울, 2014)
  • 『글짜씨』 9, 좌담 「돌아온 오너먼트」(서울, 2014)
  • 『노범』 2014년 8월 (뮌헨, 2014)
  • IdN 매거진, v21n2: Minimalist Issue』(홍콩, 2014)
  • 『월간 디자인』 2014년 7월, 「Design Oriented Company - JTBC」(서울, 2014)
  • 『글짜씨』 8, 좌담 「슈퍼텍스트로서 타이포잔치 2013」(서울, 2013)
  • 『월간 디자인』 2013년 12월, 「한국 디자인 연감 2013」(서울, 2013)
  • 그래픽 매거진 #26: Hangul Type & Lettering』(서울, 2013)
  • 『데이즈드 앤 컨퓨즈드 코리아』 2013년 3월, 인터뷰(서울, 2013)
  • 『CA 매거진』 2013년 2월, 「A little bit special artwork」(서울, 2013)
  • 그래픽 매거진 #25: Printing Issue』(서울, 2012)
  • 『월간 디자인』 2012년 12월, 「한국 디자인 연감 2012」(서울, 2012)
  • 『CA 매거진』 2012년 12월, 인터뷰(서울, 2012)
  • 『하퍼스 바자 코리아』 2012년 9월, 「Great Visual Artist 15」(서울, 2012)
  • 『월간 디자인』 2012년 8월, 인터뷰(서울, 2012)
  • 『월간 디자인』 2012년 8월, 에세이 「The Number Of The Beast」(서울, 2012)
  • 그래픽 매거진 #23: Objects of Inspiration』(서울, 2012)
  • 『디자인네트』 2012년 7월 「studio fnt」(서울, 2012)
  • 『월간 디자인』 2011년 12월, 「한국 디자인 연감 2011」(서울, 2011)
  • 『지콜론 매거진』 2011년 6월, 「Music and Design」(서울, 2011)
  • 『CA 매거진』, 2011년 3월, 인터뷰(서울, 2011)
  • 『월간 디자인』, 2011년 1월, 「2011년 월간 『디자인』이 주목한 디자이너 15」(서울, 2011)
  • 『지콜론 매거진』 2011년 1월, 「Small Design Studio」(서울, 2011)
  • 『CA 매거진』 2010년 8월, 인터뷰(서울, 2010)

    외 다수


매체소개(온라인)


외 다수


출강

  • 시각디자인, 서울시립대학교(서울, 2013—현재)
  • 그래픽 디자인 스튜디오, 서울대학교(서울, 2017)
  • 그래픽 디자인 스튜디오, 서울대학교(서울, 2014)
  • 편집디자인, 서울대학교(서울, 2012—2013)
  • 포트폴리오, 서울시립대학교(서울, 2012)
  • 폼 기빙, SADI(서울, 2012)
  • 디지털 드로잉, 서울여자대학교(서울, 2011—2012)
  • 타이포그래픽 커뮤니케이션, 계원예술대학교(의왕, 2008—2011)


특강, 워크숍, 토크 등

  • PaTI(파주타이포그라피배곳) 2021 가을학기 불날 연찬: 타이포잔치 2021: 국제 타이포그래피 비엔날레 《거북이와 두루미》(파주타이포그라피배곳, 파주, 2021)
  • 서강대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 말과활아카데미 공동기획 워크숍 『시각예술과 메모리 액티비즘』, 그래픽 디자인과 기억(마포출판문화진흥센터, 2021)
  • 『DDP 영 디자이너 잡 페어』, 디자인 잡 컨퍼런스(온라인, 2020)
  • 어워드360° 2020』, 토크(온라인, 2020)
  •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 『이음다리』(온라인, 2020)
  • 토크(연세대학교, 서울, 2020)
  • 토크(세종대학교, 서울, 2020)
  • 어워드360° 2019』, 토크(광저우, 2019)
  • 『‘집’이 크리에이터를 만든다』, (파라다이스 ZIP, 서울, 2019)
  • HCI 2019 뉴 트렌드 세미나 2』(서울대학교 미술관, 서울, 2019)
  • 토크(비상교육, 서울, 2019)
  • 토크(숙명여자대학교, 서울, 2019)
  • CA 컨퍼런스 「디자이너가 보는 방식」(예술가의 집, 서울, 2019)
  • 제16회 베니스비엔날레 국제건축전 한국관 귀국전 《국가 아방가르드의 유령》 전시 연계 토크: 「공간과 지면의 무대화: 전시 디자인과 출판」(아르코미술관, 서울, 2019)
  • 《잉크 빌리지》 아티스트 토크(코우너스, 서울, 2019)
  • 『김하나의 측면돌파』, 그래픽 디자이너 이재민 「레코드와 고양이의 상관관계」(채널예스 팟캐스트, 2018)
  • 토크(홍익대학교, 서울, 2018)
  • 「청소하면서 듣는 음악」 출간 기념 토크(1984, 서울, 2018)
  • New Members Zapping, AGI OPEN Paris(오데옹 유럽 극장, 파리, 2017)
  • 워크숍(우와한 형제들, 서울, 2017)
  • 네이버 이층(異层)세미나(네이버, 분당, 2017)
  • 언리미티드 에디션 8』 연계 프로그램 「UE8 리뷰」(일민미술관, 서울, 2016)
  • 토크(연세대학교, 서울, 2016)
  • 토크(이화여자대학교, 서울, 2016)
  • 《포스터 이슈 2016》 아티스트 토크(서울, 2016)
  • 모바일 토크: 홍콩(커먼 룸 회사, 홍콩, 2016)
  • 그래픽 디자인, 2005—2015, 서울》 전시 연계 프로그램 「불완전한 리스트」 아티스트 토크(일민미술관, 서울, 2016)
  • 토크(건국대학교, 서울, 2016)
  • 타이포잔치 2015: 4회 국제 타이포그래피 비엔날레》 전시 연계 프로그램 「(   ) on the Walls」 아티스트 토크(문화역서울 284, 서울, 2015)
  • 《交, 향》 전시 연계 디자인 심포지엄 「그래픽 심포니아」(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 2015)
  • 토크(이화여자대학교, 서울, 2015)
  • 토크(숙명여자대학교, 서울, 2015)
  • 『그래픽 매거진 #32』 출간 기념 토크(땡스북스, 서울, 2015)
  • 토크(SADI, 서울, 2014)
  •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학술대회(서울, 2014)
  • 토크(경기대학교, 수원, 2013)
  • 《ECM 침묵 다음으로 가장 아름다운 소리》 전시 연계 토크(아라아트센터, 서울, 2013)
  • 토크(홍익대학교, 서울, 2013)
  • 토크(이화여자대학교, 서울, 2013)
  • 토크(울산대학교, 울산, 2013)
  • 지콜론 북 세미나(서울, 2013)
  • 토크(덕성여자대학교, 울산, 2012)
  • 토크(한경대학교, 울산, 2012)
  • 정림건축문화재단 「포럼앤포럼」 토크(예술가의집, 서울, 2012)
  • 토크(서울대학교, 서울, 2012)
  • 토크(서울여자대학교, 서울, 2012)
  • 《도쿄 TDC 서울 2011》 전시 연계 토크(서울, 2011)
  • CA 컨퍼런스(서울, 2011)
  • 토크(서울시립대학교, 서울, 2011)
  • 토크(서울여자대학교, 서울, 2010)
  • 토크(홍익대학교, 서울, 2010)
  • 토크(한세대학교, 군포, 2010)
  • 토크(서울대학교, 서울, 2010)
  • 『상상마당 포럼』(KT&G 상상마당, 서울, 2010)

    외 다수


작품소장처



 
© Jaemin Lee. All rights reserved.